분류 전체보기687 성공을 위해 결정과 목표를 세워야 하는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왜 목표를 세워야 되는지에 대한 해답을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아마 모든 자기 계발서에서 결정과 거기의 구체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고 말합니다.그런데 왜 구체적으로 세워야 하는 거지? 목표를 세우면 되지 않겠어? 귀찮다... 이런 생각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지 않고 막연하게만 생각하고 있지 않은 셨나요.. 저도 이런 생각을 했는데요.. 그런데 과학적으로 왜 이런 구체적인 목표가 우리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게 만드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이유가 무엇인지 한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뇌도 근육처럼 쓰지않으면 퇴화한다. 즉 특정한 뇌 영역을 사용하면 강해지고 그렇지 않으면 약해진다. 우울증이나 불안 증세도 이러한 작용으로 생겨나는 것이다.우리 뇌는 우리가 결정을 내리면 무의미.. 2022. 9. 25. 좋은 수면과 뇌건강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오늘은 뇌과학적으로 수면이 우리 뇌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뇌 건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잠을 잘못 자면 뇌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나나? 잠을 잘 못 자면 몸뿐만 아니라 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전전두피질과 해마가 큰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 조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도파민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계의 물질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는다. 시상하부에는 멜라토닌이라는 신경전달 물질을 분비한다. 이를 신호로 뇌는 이제 자는 시간임을 알려 준다. 자신이 취침시간이라고 여기는 시간이 명확히 있어야 한다. 해가 진 뒤에는 밝은 빛을 피한다. 생체리듬의 교란을 막기 위해서 이다. 그럼 잠을 잘 자게 되면 어떠한 변화가 생길까? 잠을 잘자면. 1.. 2022. 9. 24. 운동이 뇌건강에 미치는 좋은 점 5가지. 운동은 우리 몸에 좋다는 것은 다 안다. 그리고 뇌 건강에도 좋다. 그럼 운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알아 본다. 몸을 움직이기 전에 우선 뇌가 먼저 움직여야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뇌의 신경화학에 대해 알아야 한다. 즉 뇌가 나태하게 빈둥거리는 상태가 몸 또한 그렇게 느낀다. 그래서 몸을 안 쓰게 만드는 것이다. 내가 아니라 뇌가 게으른것이다. 여기서 운동이라는 것은 그냥 몸을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니깐 시작은 운동하지 말고 쉽고, 재밌게, 활동적으로 지낸다라는 의미로의 운동이다. 운동은 기분전화 약물이 주는 효과 이상이다. 관성의 법칙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몸도 마찬가지다.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뇌가 그런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단 엉덩이를 들.. 2022. 9. 23. 종잣돈 1억 만드는 현실적인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잣돈 1억 만들기입니다. 1억 정도 돼야 10억 100억으로 가는 씨돈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종잣돈 1억 만들기 다섯 가지 원칙입니다. 그런데 사람의 마음과 습관은 쉽게 고쳐지지 않습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저자신도 아직 카드를 자르지 않았거든요... 사람은 행동보다 마음을 바꾸는 것이 더 힘든 것이죠. 사실 부자가 되지 못하는 사람은 능력이나 기회 혹은 종잣돈이 없는 사람이 아니라, 자기 내면에 부자가 되겠다는 결심, 욕망이 없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자 그럼 부자사업가 김승호 저자가 알려주는 1억 모으는 방법입니다. 1. 1억원을 모으겠다고 결심한다. 항상 무언가를 이루고 싶을 때는 가장 먼저 정말 이것을 이루고 싶다는 욕망이 생겨야 합니다. '나는 1억을 모을 거야'라.. 2022. 9. 13. 이전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 172 다음